Asia Pacific Music Meeting 2021
Loading
Follow us:

울산에이팜 로컬리티 - 국악 / 판소리 / 창극

김미경판소리연구소 Kim Mi-kyung Pansori Research Institute

(상남자) 처용, 娛 (오) 神 (신) DAY! 처용신과 한바탕 놀아보자!

  • 프로필
    김미경판소리연구소는 2006년 창단하여, 판소리와 민요를 비롯한 민속악을 기반으로 활동하며, 창작판소리, 국악가요, 창극, 로컬음악 등 다양한 작품을 시도하는 단체이다. 전통과 창작의 끊임없는 연구를 통해 국악의 대중화에 힘쓰고 있으며, 울산의 문화콘텐츠 발굴을 위한 울산가 작창, 김미경 소리꾼의 발전을 위한 악보발간, 음반발매, 그리고 함께 걸어갈 제자 양성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 맴버
    <b>김미경</b> (대표, 연출, 판소리)
    <b>김예진</b> (판소리)
    <b>유병기</b> (고수)
    <b>김영은</b> (첼로)
    <b>정혜선</b> (대금)
    <b>정지영</b> (신디사이저)
  • 프로그램 소개
    판소리 ‘울산의 상남자 처용’은 전통 판소리 창법과 현대적 음악, 그리고 연극적인 요소를 해학적으로 그려낸 창작판소리 소리극이다.

    <h6>〈처용 창극〉 30분</h6>
    <b>(상남자) 처 용, 娛(오) 神(신) D A Y ! 처용신과 한바탕 놀아보자!</b>

    극작가 임영욱과 음악작곡자 구지영이 만나 이루어진 로컬음악. <b>"국악과 서양악기의 콜라보레이션!"</b> 2명의 소리꾼과 4명의 연주자가 모여 역신을 물리치는 처용신과 한바탕 놀아본다.

    <b>장소</b>
    신라 헌강왕 시절 지금의 울산(울주군)과 서라벌 일대
    처용이 지금의 아내를 만나는 과정과 아내를 맞이하고 난 뒤에 일어나는 사건을 창극으로 구성하였다. 관용의 상징인 처용은 과연 이 사건을 어떻게 대처할까....
  • 공연경력
    <table> <tr> <td valign="top" width="42px"><b>2020</b></td> <td valign="top">제12회 김미경의 소리愛 정간보와 함께하는 보성소리 심청가</td> </tr> <tr> <td valign="top"><b>2020</b></td> <td valign="top">제2회 태화강 예술제 예루하 – 축하공연 ‘창극 뺑파전’</td> </tr> <tr> <td valign="top"><b>2020</b></td> <td valign="top">2020 식습관 개선 음악극 ‘어린이창극 콩쥐 팥쥐’</td> </tr> <tr> <td valign="top"><b>2019</b></td> <td valign="top">제11회 정기연주회 김미경의 소리 愛 ‘바람인 듯 소리인 듯’</td> </tr> <tr> <td valign="top"><b>2018</b></td> <td valign="top">김미경의 소리 콘서트 심자란 소리</td> </tr> </table>
  • 수상이력
    <table> <tr> <td valign="top" width="42px"><b>2021</b></td> <td valign="top">제19회 전국국악대전 대통령상 수상</td> </tr> </t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