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a Pacific Music Meeting 2021
Loading
Follow us:

울산에이팜 쇼케이스 - 전통창작

우리소리 바라지 Ensemble BARAJI

입고출신[入古出新]

  • 프로필
    우리소리 바라지는 누군가를 물심양면으로 알뜰히 돌보는 것을 뜻하는 순우리말로, 전통음악에서는 음악을 이끌어 가는 주된 소리에 어우러지는 반주자들의 즉흥적인 소리를 가리키며 진도 씻김굿에서 극대화되어 독특한 음악양식을 이루게 된다.

    음악집단 ‘바라지’는 바로 이 바라지 ‘소리’를 주된 음악적 표현방식으로 삼아 바라지 음악의 아름다움을 세상 사람들과 공유하고자 탄생했다.

    더불어 음악집단 ‘바라지’는 소리, 타악, 기악, 연희 등 여러 전통음악 가운데 시대적 감각과 통할 수 있는 요소를 간추리고 다듬어 이를 새롭게 재창조하는 것을 고민하며, 궁극적으로는 ‘바라지’의 음악을 통해 세상을 조금 더 인간답게 만드는 데 바라지하는 것을 염원한다.
  • 맴버
    <b>강민수</b> (꽹과리)
    <b>김율희</b> (소리)
    <b>이준형</b> (타악)
    <b>정광윤</b> (대금)
    <b>조성재</b> (아쟁)
    <b>최광일</b> (피리)
    <b>최은혜</b> (가야금)
  • 프로그램 소개
    <b>〈입고출신〉</b>
    ‘입고출신’은 중국의 모든 옛 필법과 금석학을 깊이 연구하고 탁마하여 자신만의 독창적인 서체를 창안해낸 추사 김정희의 예술정신을 일컫는 말로, 고전으로 들어가 새것으로 나온다는 뜻이다.

    더불어, 옛것을 본받되 무작정 따르기만 하고 새것을 만들되 근본이 없음을 경계해야 함을 강조하는 연암 박지원의 가르침에서 바라지의 음악정신은 출발한다.

    우리소리 바라지는 전통음악을 깊게 공부하면서 동시에 시대적 감각을 놓치지 않으면서 근본 없이 비루해지지 않고자 한다.

    <입고출신>은 우리 전통음악의 정수인 판소리와 산조, 무속악 속으로 들어가 가락을 추려 다듬고 새로 꾸며 세상에 내놓았다.

    <b>1. 만선(10분)</b>
    : 뱃노래에 타악을 결합하여 풍어의 기쁨을 표현한 곡

    <b>2. 별신축원(16분)</b>
    : 동해안별신굿의 청보장단을 모티브로 만든 작품

    <b>3. 진혼(15분)</b>
    : 이 세상의 모든 죽음 앞에 바치는 짧은 위안의 의미로 진도씻김굿을 기반으로 구상한 곡
  • 공연경력
    <table> <tr> <td valign="top" width="42px"><b>2020</b></td> <td valign="top">문화역서울 284 ‘가을.역.소리’ 온라인 공연</td> </tr> <tr> <td valign="top"><b>2020</b></td> <td valign="top">국립무형유산원 일원 ‘무형유산페스티벌’ 공연</td> </tr> <tr> <td valign="top"><b>2020</b></td> <td valign="top">서울 돈화문국악당 ‘링크(LINK)’ 온라인 공연</td> </tr> <tr> <td valign="top"><b>2019</b></td> <td valign="top">광주문화재단 전통문화관 일요상설 공연</td> </tr> <tr> <td valign="top"><b>2018</b></td> <td valign="top">폴란드 Ethno Port Festival 공연</td> </tr> </table>
  • 수상이력
    <table> <tr> <td valign="top" width="42px"><b>2017</b></td> <td valign="top">공연예술 창작산실 올해의 레퍼토리 선정</td> </tr> <tr> <td valign="top"><b>2015</b></td> <td valign="top">WOMEX(World Music Expo) 공식 쇼케이스 선정</td> </tr> <tr> <td valign="top"><b>2015</b></td> <td valign="top">KBS 국악대상 대상(연주단체부문) 수상</td> </tr> </table>